반응형
CentOS 7에서 MariaDB를 yum으로 설치하면 예전 버전이 설치됩니다.
그 이후 버전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repo를 등록한 후 설치해야 합니다.
1. MariaDB yum repo 등록
# vi /etc/yum.repos.d/MariaDB.repo
[mariadb]
name = MariaDB
baseurl = http://yum.mariadb.org/10.4/centos7-amd64
gpgkey=https://yum.mariadb.org/RPM-GPG-KEY-MariaDB
gpgcheck=1
2. MariaDB 설치 및 확인
# yum install -y MariaDB
# rpm -qa | grep MariaDB
3. MariaDB 실행 및 비밀번호 변경
// MariaDB 실행
# systemctl start mariadb
// 비밀번호 변경
# /usr/bin/mysqladmin -u root password '변경할 비밀번호'
4. CharacterSet을 utf8mb4로 변경
utf8 vs utf8mb4
MySQL, MariaDB, PostgreSQL, MSSQL, Oracle 등의 Database를 사용하면서 보통 utf8로 설정합니다. 하지만 MariaDB, MySQL의 경우 최근 utf8mb4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emoji 때문입니다. My..
yjh5369.tistory.com
# vi /etc/my.cnf
[mysqld]
default_storage_engine=innodb
init-connect='SET NAMES utf8mb4'
lower_case_table_names=1
character-set-server=utf8mb4
collation-server=utf8mb4_unicode_ci
[client]
port=3306
default-character-set = utf8mb4
[mysqldump]
default-character-set = utf8mb4
[mysql]
default-character-set = utf8mb4
5. MariaDB 재시작
# systemctl restart mariadb
6. ChacterSet 변경 확인
# mysql -u root -p
> show variables like 'c%';
7. linux reboot 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
// enable 설정
# systemctl enable mariadb
// enable 설정 확인
# systemctl is-enabled mariadb
728x90
반응형
'Database ( DB )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MariaDB(mysql) 외부 접속 가능하게 하는 방법 (0) | 2021.01.02 |
---|---|
utf8 vs utf8mb4 (0) | 2021.01.02 |
mssql] Adding an identity to an existing column (0) | 2021.01.01 |
springboot에 flyway 사용 (0) | 2020.11.02 |
HikariCP Dead lock (0) | 2020.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