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ever.xml에 JNDI를 사용하게 되면 프로젝트를 서버에 올릴때 마다 server.xml을 수정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럴때 META-INF 폴더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JNDI를 이용할수 있다.
1.webapp 폴더 아래 META-INF폴더생성
2.context.xml 파일 생성
3.context.xml에 JNDI 추가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text>
<Resource
name="jndi이름"
auth="Container"
type="javax.sql.DataSource"
driverClassName="드라이버"
loginTimeout="10"
maxWait="5000"
username="아이디"
password="비밀번호"
testOnBorrow="true"
url="접속 주소" />
</Context>
4.어플리 케이션에서 JNDI호출
ex)스프링
<bean id="dataSource" class="org.springframework.jndi.JndiObjectFactoryBean">
<property name="jndiName" value="study/security"/>
<property name="resourceRef" value="true"></property>
</bean>
728x90
반응형
'Database ( DB )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iaDB, MySQL] DB 연결 속도저하 해결 방법 (0) | 2019.08.10 |
---|---|
[mysql/mariadb] DB 스케쥴러 (0) | 2019.08.10 |
SYS_CONNECT_BY_PATH mysql ( tree 구조의 계층 표시 ) (0) | 2019.08.10 |
Convert a binary to decimal using MySQL (0) | 2019.08.10 |
mysql log delete (0) | 2019.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