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text 선택 방지 웹 페이지에서 내용 복사를 막기 위해 text 선택을 css로 방지 할 수 있다. -webkit-touch-callout: none; -webkit-user-select: none; -khtml-user-select: none; -moz-user-select: none; -ms-user-select: none; user-select: none; 웹 개발 2019.08.23
HTML 객체의 넓이보다 text의 길이가 길어졌을 경우 ... 처리 방법 (ellipsis) .ellipsis{ white-space:nowrap; text-overflow:ellipsis; /* IE, Safari */ -o-text-overflow:ellipsis; overflow:hidden; -moz-binding: url('ellipsis.xml#ellipsis'); } 웹 개발 2019.08.23
html/css - table 구조에서 열(column)단위로 숨기기 첫번째 두번째 첫번째 두번째 위와 같이 쓰게 되면 두번째 열 모두 숨겨진다. * 참고사항 ) IE에 한해서 버전에 따라 display: none이 되는 놈이 있고 visibility: collpase;가 되는 놈이 있는데, 두개 다 쓰면 IE 8을 제외하고는 다 된다고 한다. 웹 개발 2019.08.17
css에서 name 속성과 id 속성의 충돌 문제 XHTML 1.0부터는 이전 버전의 브라우저와 호환성을 위해 태그(tag) 요소 등에 name 속성과 id 속성을 같은 값으로 지정하면 스타일이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들어 a[name="c1"]{ color: red; } a#c1 { color: yellow; } 위 같이 태그에 css를 적용하면 충돌한다. 스타일의 개별성 규칙에 따르면 a[name="c1"]은 11이고 a#c1은 101이므로 id 속성이 우선된다. 만약 이 경우에 name 속성을 우선시 하고 싶다면 a[name="c1"]{ color: red!important; } 와 같이 사용해야 한다. 웹 개발 2019.08.15
jquery css 값 설정 방법 1. $("#id").css(속성, 값); ex) $("#abc").css("background", "red"); 2. $("#id").css({속성: 값, 속성: 값, 속성: 값}); ex) $("#abc").css({ background: red, font-color: blue}); 웹 개발 2019.08.15
CSS 속성 선택자 속성 선택자는 특성 속성명이나 속성값을 가진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하기 위한 선택자다. 속성 선택자에는 네 가지 서식이 있다. 1. 요소명[속성명] id의 값은 관계 없이 id가 존재하기만 하면 된다. ex) h1[id] { color: red; } 2. 요소명[속성명="속성값"] ex) h1[id="abc"] { color: red; } 3. 요소명[속성명~="속성값"] 요소 중에서 그 속성명을 가지고 속성값을 공백문자로 구분하여 복수지정한 경우 그 속성 값이 포함된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한다. ex) P[class~="note"] { color: red; } aaaaa 4. 요소명[속성명|= "속성값"] 요소 중에 그 속성명을 가지고 속성값을 하이픈(-)으로 구분하여 복수지정한 경우 그 속성값의 앞 부분.. 카테고리 없음 2019.08.15
[css] word-wrap 가나다라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BC%D2%B3%E0%BD%B4%EB+%C4%AB+%B8%F1%B7%CF&sm=top_hty&fbm=1 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 일이삼사오육칠팔구십일이삼사오육칠팔구십일이삼사오육칠팔구십일이삼사오육칠팔구십일이삼사오육칠팔구십 가나다라 웹 개발 2019.08.15
CSS3을 이용한 둥근 테이블 만들기 테두리의 코더값은 아래와 같이 radius값으로 지정해 줄 수 있다. border-radius:값; ex ) border-radius:20px; -webkit-border-radius:20px; 카테고리 없음 2019.08.11
pageBreak (다음 페이지로 넘기기) .pageBreak { page-break-before:always; } 위와 같이 스타일을 지정하면 지정된 부분에 사용하면 페이지가 넘어간다. 즉, html->pdf문서로 변환할 때, 일종의 출력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음페이지로 넘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1 태그에 pageBreak를 걸어주면 h1태그가 나올때마다 다음 페이지로 넘어간다. 웹 개발 2019.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