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enkins란?
젠킨스는 소프트웨어 개발 시 지속적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툴이다. 다수의 개발자들이 하나의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버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각자 작업한 내용을 공유 영역에 있는 Git 등의 저장소에 빈번히 업로드함으로써 지속적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 준다. MIT 라이선스를 따른다.
출처: 위키백과
jenkins 설치 방법
-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 다운받은 파일 실행
- jenkins 초기 설정
- 웹 페이지 접속
- plugins install
- admin 계정 생성
- jenkins 접근 URL 설정
jenkins 설치 방법 상세
1.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https://www.jenkins.io/download/)
2. 다운로드한 jenkins.msi 실행
2.1. 진행 중 Logon Type이 나오면 LocalSystem을 선택 후 Next 클릭
2.2. Test Port를 클릭 후 이상이 없으면 Next 클릭
3. jenkins 초기 설정
3.1. 브라우저에 localhost:port 입력합니다.
3.2. 위 이미지에 표시된 경로를 탐색기에 입력한 후, 메모장을 클릭합니다.
3.3. 메모장에 있는 내용을 복사해서 웹 페이지에 붙여 넣기 한 후 Continue 버튼을 클릭합니다.
3.4.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 Install suggested plugins : 젠킨스에서 기본으로 제안하는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 Select plugins to install :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플러그인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기본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3.5. 플러그인 설치가 진행됩니다.
3.6. admin 계정을 생성합니다.
3.7. jenkins 접근 URL를 설정합니다.
3.8. Start using Jenkins 버튼을 클릭합니다.
728x90
반응형
'웹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 svn 연동하는 방법 (0) | 2022.03.22 |
---|---|
jenkins에 svn plugin 설치 (0) | 2022.03.22 |
junit를 사용한 단위 테스트에서 autowired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해결 방법 (0) | 2022.03.20 |
[spring boot + jpa + gradle + h2] jpa 설정 (0) | 2022.03.19 |
thymeleaf vs jsp (0) | 2022.03.13 |